티스토리 뷰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서 한동안 고금리 적금상품들이 정말 많이 출시됐었죠? 그래서 새마을금고나 수협 등 지역공동체에서 진행되는 금융권에서 금리가 좋은 상품들이 많이 나왔기에 거의 오픈런 수준으로 예금이나 적금에 가입했던 사람들이 많았는데...현재 새마을 금고 부실 위기, 뱅크런 때문에 다들 난리입니다.
뱅크런은 무엇인가?
은행의 위기르르 인식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상황을 말한다.
은행의 위기를 인식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한다. 이럴 경우 고객이 맡긴 예금으로 각종 금융활동을 해 수익을 창출하던 은행들이 돈이 바닥나고 패닉에 빠지는데, 이를 뱅크런 위기라고 부른다. 새마을금고의 위기를 인식해 고객들이 손실을 감수하고 예·적금을 해지해 돈을 인출하면 돌려줄 돈이 없어 뱅크런이 될 수 있지만 다행히 지금은 차분한 국면에 접어들었다. 은행의 위기를 인식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한다. 이럴 경우 고객이 맡긴 예금으로 각종 금융활동을 해 수익을 창출하던 은행들이 돈이 바닥나고 패닉에 빠지는데, 이를 뱅크런 위기라고 부른다.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하는법
1. <수시공시> 새마을금고를 검색하여 홈페이지로 접속 → 메뉴 상단바에 있는 (사업안내 - 수시공시)를 눌러줍니다 → 해당 지역명 검색을 누른 후 본인이 가입한 지역을 검색하여 해당 지점의 금고명을 확인하고 옆에 첨부파일을 클릭 → 세부적인 내용 확인하기
2. <정기공시> 새마을금고를 검색하여 홈페이지로 접속 → 메뉴 상단바에 있는 (사업안내 - 전자공시 - 정기공시 )를 눌러줍니다 → 해당 지역 & 해당지점 금고명을 확인 후 클릭 → 20.대출채권 현황 , 25.~29 경영지표, 31.경영실태평가 등을 확인 후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 본인이 가입되어 있는 새마을금고 지점명을 검색하여 종합적인 자료를 훑어보고 결정하는것이 필요한 것 같다.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가능한가?
금융기관의 부도 등으로 고객의 금융자산을 반환하지 못할 경우 예금보호기금을 통해 일정금액 내에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1인당 보호금액은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최대 5,000만원 보호가 가능하므로 해당 금액까진 보호가 됩니다. 하지만 출자금은 새마을금고의 자본금으로 예적금과 달리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참고 해주세요 !!!
새마을 금고 부실 사태를 알아보면서 저도 작년에 든 예적금 다 뺐습니다...아무리 보장 된다고 불안하더라고요ㅠㅠ
여러분들도 고민 잘 해보시고 소중한 돈 잘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페이 국내 출시 관련주 (0) | 2023.08.17 |
---|---|
다자녀 혜택 2자녀로 변경! (0) | 2023.08.16 |
국세환급금 조회 신청방법 (0) | 2023.08.10 |
농협은행 영업시간, 분실신고 하는 방법, 은행 위치 찾기 (0) | 2023.08.01 |
<새마을 금고> 운영시간 은행 위치 고객센터 이용시간 알아보기! (0) | 2023.07.28 |